Shrimp Task Manager MCP 맛보기

Stoic Park·
Shrimp Task Manager MCP

요새는 시간이 조금만 흘러도 개발자를 위한 도구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쏟아지는 모든 도구들을 모조리 흡수하고 싶지만 그것은 내 능력 밖인지라

그 중에서도 지금의 나에게 필요한 도구들이라고 한다면 하나씩 훑어보고 써보고 있는 중이다

특히 나 같은 경우, 최근 커서를 사용하면서 개발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지만 어떠한 기능을 개발할 때 두서 없이 커서와의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곤 했는데

마치 스무고개처럼 내가 원하는 수준의 코드를 만드는 것에 대한 재미..도 있고, 실제 개발보다는 빠르게 요구사항에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ai 도구를 사용하는 관점에서는 오히려 이런 스무고개의 형태는 비효율적이라고 느꼈다

그러던 중에 눈에 들어온 것이 Shrimp Task Manager MCP

추천하는 이유는 기존에 내가 커서를 사용하면서 개발할 때의 과정을 지켜보면 알 수 있다

기존에 내가 어떤 기능을 개발할 때의 ai를 사용하는 과정을 지켜보면 아래와 같다

  1. 스크린샷, 혹은 원하는 기능 텍스트를 추가, 참고해야할 주요 파일 언급
  2. 친구야, 위 기능을 개발하기 위한 투두리스트를 생성해줘

위처럼 투두리스트를 생성하고 기억시킨후에 하나씩 해가는 식으로 진행했으나 이러한 과정을 해주는 mcp라고 할 수 있겠다

Shrimp Task Manager MCP란?

MCP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이전에 다룬 포스트를 읽어보거나, 간단히 구글에 검색해보면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공식문서에서는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Note

Shrimp Task Manager는 AI 에이전트가 소프트웨어 개발에 접근하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MCP (Model Context Protocol) 서버입니다. 컨텍스트를 잃거나 작업을 반복하는 대신, Shrimp는 다음을 제공합니다:

  • 🧠 지속적인 메모리: 작업과 진행 상황이 세션 간에 유지됩니다
  • 📋 구조화된 워크플로우: 계획, 실행, 검증을 위한 가이드된 프로세스
  • 🔄 지능형 분해: 복잡한 작업을 자동으로 관리 가능한 하위 작업으로 분해
  • 🎯 컨텍스트 보존: 토큰 제한이 있어도 위치를 잃지 않습니다

ai 에이전트에게 프로젝트를 이핵시키는 것이 나로써는 가장 곤욕이였는데(이 과정에서 종종 ai와 싸우고 화해하고를 반복하곤 했다) 이 과정에서 큰 장점이 있다

다른 도구와의 차이점

클로드코드와 함께 TaskMaster MCP가 유명한데, 그것과 비교해보면

둘 모두 ai 를 기반으로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도록 돕는 도구들이지만 그 동작 방식에서 차이점이 있다

비교 항목Shrimp Task ManagerTask Master MCP
API 의존성내장 AI 활용 (추가 API 불필요)외부 API 필요 (Claude API 등)
작업 계획 방식코드베이스 분석 후 맞춤형 계획PRD 기반 일괄 태스크 생성
설정 복잡도간단 (MCP 설정만)복잡 (API 키 등 추가 설정)

Shrimp Task Manager MCP의 장점은 외부 api가 필요 없이 내장 api를 사용할수 있고 추가비용이 필요 없다는 점. 또한 현재 프로젝트의 코드베이스를 분석 후에 그에 맞는 계획을 수립한다는 점이다.

내가 taskmaster에 접근하기 어려웠던 부분들을 완벽히 상쇄해주는 MCP인 것이다..!

설치 방법

그렇다면 설치부터 시작하자!

https://smithery.ai/server/@cjo4m06/mcp-shrimp-task-manager

설치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Smithery를 이용한 자동설치 방법과, 로컬에 직접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나는 간편한 자동 설치 방법을 선택했다.

아래 링크에 들어가서 본인이 사용하는 ai 에이전트를 선택해서 설치해주면 끝이다.

https://smithery.ai/server/@cjo4m06/mcp-shrimp-task-manager

Shrimp Task Manager MCP
Shrimp Task Manager MCP
참 쉽죠잉?

직접 설치하는 방법은 아래에 링크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니 살펴보면 된다!

https://github.com/cjo4m06/mcp-shrimp-task-manager

핵심 기능

사용 가능한 도구들에 대해서 관련 문서들에 잘 나와있는데 하나씩 짚어보자

아래의 링크에 보면 사용 가능한 도구들이 사용 목적에 따라 잘 구분되어 설명되어 있는데, 그 중에 핵심 도구들에 대해서 짚고 넘어가보려고 한다

https://github.com/cjo4m06/mcp-shrimp-task-manager/blob/main/docs/tools.md

카테고리도구 이름설명사용 예시
Planning Toolsplan_task전략적 작업 계획 수립plan task: implement authentication
analyze_task요구사항 분석analyize task complexity
split_tasks작업 세분화split task 1 into substasks
Execution Toolsexecute_task작업 실행execute task 1
update_task작업 수정update task 1 with new requirements
complete_task작업 완료 표시complete task 1
Verification Toolsverify_task결과 검증verify task 2
reflect_task품질 검토replect on task 2
query_task상태 확인query task with pending status
Memory Toolsget_task_detail작업 이력 조회get task detail
clear_all_tasks백업과 함께 초기화clear all tasks with backup
Research Toolsresearch_mode기술 탐구research GraphQL vs REST
init_project_rules프로젝트 표준 정의init project rules

사용해보기

프로젝트의 표준 정의를 해줄 수 있다. 결과로 shrimp-rules.md 파일이 생성된다.

아래와 같이 요구사항과, 참고했으면 하는 사항을 언급하고 명령어를 통해 진행한다.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생각하는 과정(process_thought)을 거쳐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Shrimp Task Manager MCP
Shrimp Task Manager MCP
Shrimp Task Manager MCP

과정을 거쳐 shrimp-rules.md 파일이 생성된다

Shrimp Task Manager MCP

이어서 plan_task 명령어를 통해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나의 경우 간단히 명령어와, 기간을 명시하고 진행했다

Shrimp Task Manager MCP
Shrimp Task Manager MCP

analyze_task, reflect_task, split_tasks 과정을 거치며 태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Shrimp Task Manager MCP

초반 계획을 수립하는데에 도움이 필요했던 나에게는, 이것만으로도 많은 도움이 됐다.

이어서 작업을 단계별로 진행하고 싶다면

execute_task 1 와 같이 명령어를 통해 단계별로 작업을 진행할 수 도 있다

이 밖에도 연구모드, 문서 자동화, 연속 실행 모드 등 다양한 기능들이 있어서 관심이 있다면 살펴보면 좋을 것 같다.

마치며

우선, 이전 글들과 다르게 반말조라 죄송합니다

단순히 혼자서 정리하던 글에 생각을 적었는데 자연스레 반말로 적게 됐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대 AI시대에서 뒤쳐지지 않기 위해 AI툴을 이것저것 사용해보려고 노력하고 있는데요. 이 또한 제대로 써보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실무를 할 적에는 어떤 태스크를 진행함에 있어서 팀원들과 충분한 플래닝을 진행하고 태스크를 계획하고 개발을 진행했었는데, 최근 퇴사 후 혼자 개발을 진행하면서 이러한 과정들이 생략되곤 해서 아쉬운 점이 있었는데

이 매니져를 통해서 그러한 아쉬운점을 채우고, 보다 더 효율적인 개발을 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다음에 또 좋은 툴을 발견하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자료

https://goddaehee.tistory.com/394

https://smithery.ai/server/@cjo4m06/mcp-shrimp-task-manager

https://glama.ai/mcp/servers/@cjo4m06/mcp-shrimp-task-manager?locale=ko-KR

https://github.com/cjo4m06/mcp-shrimp-task-manager?tab=readme-ov-file